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첫 차 살 때 꼭 드는 비용 총정리

by infovibe 2025. 8. 26.
반응형

🚗 첫 차 구매 시 차량 금액대별 총 비용 시뮬레이션 (2천·3천·5천·7천 기준)

처음 차를 살 때 많은 분들이 "차값만 준비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취득세, 등록비, 보험료 등 다양한 추가 비용이 함께 발생합니다. 특히 첫 차를 준비하는 20~30대라면, 생각보다 큰 금액에 놀라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량 금액대별(2천·3천·5천·7천만원)로 실제로 얼마나 돈이 드는지, 명확한 기준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 비용 산정 기준 (처음 차 살 때 꼭 알아야 할 항목)

  • 취득세 : 차량가액의 7% (경차는 4%)
  • 공채매입비 : 차량가액의 약 1.5% (지역마다 차이 있음)
  • 인지세 : 약 7만원 (고정)
  • 등록비 : 약 30만원 (고정)
  • 보험료 : 초보 운전자(20~30대) 기준 연 150~200만원 (중고 경력자보다 훨씬 비쌈)

💡 중요!
초보 운전자는 보험료가 가장 크게 나옵니다. 경력자라면 80~100만원 선에서 끝나지만, 첫 차라면 보통 180만원 내외로 잡아야 합니다.


2. 차량 금액대별 시뮬레이션 (첫 차 구입 기준)

차량가액 취득세 (7%) 공채매입비 (1.5%) 인지세 등록비 보험료 (초보 기준) 총 부대비용 차량가 + 부대비용
2천만원 140만원 30만원 7만원 30만원 180만원 387만원 2,387만원
3천만원 210만원 45만원 7만원 30만원 180만원 472만원 3,472만원
5천만원 350만원 75만원 7만원 30만원 200만원 662만원 5,662만원
7천만원 490만원 105만원 7만원 30만원 200만원 832만원 7,832만원

💡 해석 포인트
- 차값이 오를수록 취득세(7%)와 공채매입비(1.5%)가 같이 커집니다.
- 인지세·등록비는 차값과 상관없이 고정비용입니다.
- 보험료는 초보일수록 높기 때문에, 첫 차라면 반드시 180~200만원을 예상해야 합니다.
👉 결론: 차값의 15~20% 정도는 추가 비용으로 꼭 잡아야 합니다.


3. 자동차세 (배기량 기준)

차를 구매하면 매년 자동차세도 내야 합니다. 자동차세는 배기량(cc)에 따라 달라집니다.

배기량 연간 자동차세
1,000cc 미만 (경차) 약 10만원
1,600cc 준중형 약 28만원
2,000cc 중형 약 52만원
3,000cc 이상 대형 65만원 이상

👉 차값뿐만 아니라, 매년 내야 하는 자동차세도 추가 예산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최종 정리 (처음 차 사는 20~30대 기준)

  • 차량가 2천만원 → 총 2,387만원 필요 + 매년 자동차세 10~30만원
  • 차량가 3천만원 → 총 3,472만원 필요 + 매년 자동차세 28~52만원
  • 차량가 5천만원 → 총 5,662만원 필요 + 매년 자동차세 52만원 이상
  • 차량가 7천만원 → 총 7,832만원 필요 + 매년 자동차세 65만원 이상

첫 차를 준비하는 20~30대라면, 단순히 차값만 준비해서는 안 됩니다.
구매 시점에 차값 + 추가 비용 15~20%을 준비해야 하고, 이후 매년 자동차세와 보험료도 꾸준히 나간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 다음 글 예고: 첫 차를 살 때 꼭 알아야 할 보험 가입 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