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팔려고 하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 “세금 얼마나 나올까?” 일 겁니다.
단순히 중개수수료만 생각했다가, 양도소득세와 각종 부대비용을 보고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양도소득세는 계산 방식이 복잡하고, 지방소득세·중개보수·인지세까지 합치면 실제로 손에 남는 금액이 예상보다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부동산 매도 시 발생하는 모든 세금과 비용을 실제 계산 예시와 표를 통해 쉽게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 집을 팔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금 구조와 절세 방법까지 한눈에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집을 팔 때 나오는 세금 종류
집을 매도하면 대표적으로 양도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발생합니다. 다만,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을 충족하면 세금을 전혀 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양도소득세: 집을 팔아 얻은 이익(양도차익)에 부과되는 국세
-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를 지방자치단체에 추가 납부
2. 양도소득세 개념과 계산 방법
[양도소득세 계산 공식]
양도차익 = 매도가 – 취득가 – 필요경비(증빙분만)
과세표준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기본공제
양도세 = 과세표준 × 세율
- 필요경비: 취득세, 중개보수, 리모델링 비용(증빙 필요) 등
- 장기보유특별공제: 1세대 1주택 10년 보유 시 최대 80% 공제 가능
3. 지방소득세란?
- 양도세 산출세액의 10%를 추가 납부
- 예시: 양도세 1,000만 원 → 지방소득세 100만 원
4. 세금 외 부동산 매도 비용
항목 | 설명 | 평균 금액 |
중개보수 | 매매가 × 상한요율(0.4~0.9%) | 300~900만원 |
인지세 | 계약서 금액 구간별 | 15~35만원 |
법무사 비용 | 이전 등기 대행 수수료 | 20~30만원 |
5. 실제 계산 예시
가정: 매도가 7억, 취득가 4억, 필요경비 2천만 원,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불충족, 평균세율 15% 가정
구분 | 계산식 | 금액 |
양도차익 | 7억 – 4억 – 0.2억 | 2억8천만원 |
양도세 | 2억8천 × 15% | 4,200만원 |
지방소득세 | 4,200만 × 10% | 420만원 |
중개보수 | 7억 × 0.5% | 350만원 |
인지세 | - | 15만원 |
법무사 비용 | - | 25만원 |
총합 | 세금+비용 합계 | 5,010만원 |
💡 즉, 7억에 팔아도 실제 손에 남는 금액은 약 6억 4,990만 원입니다.
6. 세금 줄이는 방법
- 비과세 조건 충족: 1세대 1주택, 2년 보유(조정지역 2년 거주 포함), 실거래가 12억 이하
- 필요경비 증빙 철저: 취득세, 리모델링, 중개보수 영수증 보관
- 매도 시기 조율: 보유기간 늘려 장기보유특별공제 극대화
7. 마무리
집을 팔기 전, 예상 세금과 비용을 먼저 계산해야 매도 후 예상치 못한 손실을 피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지방소득세·중개보수·인지세까지 모두 합치면 실제 손에 남는 금액이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지금 본인의 매도 금액과 취득 금액으로 양도세를 미리 계산해 보세요.
👉 다음 글에서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을 확인하고, 세금 0원의 기회를 잡으세요.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차 살 때 꼭 드는 비용 총정리 (0) | 2025.08.26 |
---|---|
일시적 2주택 비과세, 기한·조건·예시 총정리 (2025년) (0) | 2025.08.25 |
집 팔 때 세금 이렇게 줄인다! 양도세 절세 7가지(2025년) (1) | 2025.08.25 |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완벽 해설 (2025년 기준)|세금 0원 되는 법 + 예시 (0) | 2025.08.16 |
혼인신고하면 100만 원 돌려받는다? 혼인신고 세액공제 총정리! (0) | 2025.02.16 |